Programming/Solving Errors
-
에러 내용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for [WebMergedContextConfiguration@6c951ada testClass = review.data.repository.UserRepositoryTest, locations = [], ...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myBatisUserRepository' defined in file ...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Syntax error in SQL statement에러 내용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for [WebMergedContextConfiguration@6c951ada testClass = review.data.repository.UserRepositoryTest, locations = [], ...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myBatisUserRepository' defined in file ...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
2023.09.17 -
문제 List list = userBoardService.getUserArticleList(pagingDto); model.addAttribute("userArticleList", list); mapper에서 selectList한 결과를 JSP로 넘겨주는 코드. 사용자가 작성한 게시글의 조회 결과를 list로 넘기는 부분이다. list가 null일 때와 null이 아닐 때 JSP에서 처리할 내용이 달랐는데, 조건이 제대로 걸리지 않았다. 시도 1. `${userArticleList}`이 null인 경우와 null이 아닌 경우로 나눔 👉🏻 제대로 조건이 걸리지 않음. 디버깅 과정에서 null인 경우 console.log()로 출력되는 값이 []인 것을 확인함 시도 2. 조회 결과의 null이 아닌 경우에만..
Controller에서 넘긴 List가 null인 경우 JavaScript에서 데이터 판별하기문제 List list = userBoardService.getUserArticleList(pagingDto); model.addAttribute("userArticleList", list); mapper에서 selectList한 결과를 JSP로 넘겨주는 코드. 사용자가 작성한 게시글의 조회 결과를 list로 넘기는 부분이다. list가 null일 때와 null이 아닐 때 JSP에서 처리할 내용이 달랐는데, 조건이 제대로 걸리지 않았다. 시도 1. `${userArticleList}`이 null인 경우와 null이 아닌 경우로 나눔 👉🏻 제대로 조건이 걸리지 않음. 디버깅 과정에서 null인 경우 console.log()로 출력되는 값이 []인 것을 확인함 시도 2. 조회 결과의 null이 아닌 경우에만..
2023.08.20 -
에러 게시글 삭제 처리(테이블 수정) 후 redirect 과정에서 발생한 에러 발생 원인 // jsp 코드 $("#btnDelete").click(function(e) { e.preventDefault(); const val = confirm("게시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if (val == true) { $.ajax({ "type" : "patch", "url" : "/userboard/delete/${userBoardVo.bno}", "success" : function(rdata) { location.href = rdata; } }); } }); // java 코드 @ResponseBody @RequestMapping(value = "/delete/{bno}", method = RequestMe..
because the scheme does not have a registered handler에러 게시글 삭제 처리(테이블 수정) 후 redirect 과정에서 발생한 에러 발생 원인 // jsp 코드 $("#btnDelete").click(function(e) { e.preventDefault(); const val = confirm("게시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if (val == true) { $.ajax({ "type" : "patch", "url" : "/userboard/delete/${userBoardVo.bno}", "success" : function(rdata) { location.href = rdata; } }); } }); // java 코드 @ResponseBody @RequestMapping(value = "/delete/{bno}", method = RequestMe..
2023.08.16 -
에러 내용 IntelliJ에서 Spring Boot 실행 시 서버가 제대로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행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해결 방법 Mac OS에서 해결하려면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sof -i:8080 8080 포트를 사용 중인 프로세스가 나오는데, 해당 프로세스의 PID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kill -9 PID 이렇게 사용 중인 PID가 3409라면 `kill -9 3409`를 입력한다. 이제 다시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indow의 경우 다른 글에 해결 방법을 작성해 놓았다. https://hyunrian.tistory.com/36 Tomcat already in use 문제 해결하기 서블릿 연습하려고 이클립스에 코드 작성 후 서버를 ..
[Mac OS]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해결하기에러 내용 IntelliJ에서 Spring Boot 실행 시 서버가 제대로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행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해결 방법 Mac OS에서 해결하려면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sof -i:8080 8080 포트를 사용 중인 프로세스가 나오는데, 해당 프로세스의 PID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kill -9 PID 이렇게 사용 중인 PID가 3409라면 `kill -9 3409`를 입력한다. 이제 다시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indow의 경우 다른 글에 해결 방법을 작성해 놓았다. https://hyunrian.tistory.com/36 Tomcat already in use 문제 해결하기 서블릿 연습하려고 이클립스에 코드 작성 후 서버를 ..
2023.07.30 -
서블릿 연습하려고 이클립스에 코드 작성 후 서버를 실행시켰는데 발생한 에러.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포트가 이미 다른 프로세스에서 사용 중이기 때문에 서버 시작을 위해서는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포트 번호를 바꾸라고 하는 경고창이다. 이클립스를 재시작하거나 Run Configurations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파일을 삭제해 봐도 문제가 계속 발생했는데, 알고 보니 해결 방법은 매우 간단했다. cmd에 명령어 몇 줄만 치면 되는데,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 다음과 같이 netstat -ano | findstr 8080을 입력하면 현재 해당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가 나온다. 만약 문제가 발생하는 포트 번호가 다르다면 해당 번호를 8080 대신 적으면 된다. 마지막 열에 있는 pid번호를 확..
Tomcat already in use 문제 해결하기서블릿 연습하려고 이클립스에 코드 작성 후 서버를 실행시켰는데 발생한 에러.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포트가 이미 다른 프로세스에서 사용 중이기 때문에 서버 시작을 위해서는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포트 번호를 바꾸라고 하는 경고창이다. 이클립스를 재시작하거나 Run Configurations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파일을 삭제해 봐도 문제가 계속 발생했는데, 알고 보니 해결 방법은 매우 간단했다. cmd에 명령어 몇 줄만 치면 되는데,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 다음과 같이 netstat -ano | findstr 8080을 입력하면 현재 해당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가 나온다. 만약 문제가 발생하는 포트 번호가 다르다면 해당 번호를 8080 대신 적으면 된다. 마지막 열에 있는 pid번호를 확..
2023.06.22